분류 전체보기 3

출산전후휴가 급여 신청 방법, 급여계산기

1. 출산전후휴가 출산전후휴가는 임신한 여성이 회사에서 총 90일동안 사용할 수 있으며, 현재 받고 있는 수준의 임금이 보장되는 휴가입니다. 이 중 45일 이상은 출산 후에 사용해야 합니다. 쌍둥이의 경우 총 120일, 출산 후에는 60일 이상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산이 예정보다 늦어져 45일 이상을 출산일 이전에 쓴 경우에는 출산 후 총 45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추가로 부여된 출산휴가에 대한 임금은 회사에서 지급할 의무는 없습니다. 2. 출산휴가 분할사용 원칙적으로 출산휴가는 한번 시작하면 종료일까지 사용해야 합니다. 단, 유산, 사산 예방을 위해 초/중기에도 출산휴가를 미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는 분할로 사용할 때 마다 진단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아래의 경우에는 출산휴가 분할..

일상생활 tip 2024.02.05

육아휴직 급여, 대상자, 조건, 혜택 총 정리

2024년부터 육아휴직 혜택이 확대된다는 소식을 들었어요. 솔직히 육아 휴직 기간이 터무니없이 짧게 느껴지더라고요. 경력단절이라는 위험을 무릅쓰고 결국 저는 육아휴직을 아낀 채, 퇴사를 택했어요. 후에 제도가 달라지면 아이가 초등학생이 될 때쯤에도 육아휴직을 쓰는 것이 좋다는 소리를 들었기 때문인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육아휴직에 대해서 자세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육아휴직이란? 육아휴직은 만 8세 이하의 자녀를 대상으로 부모가 근무시간을 휴직하는 제도입니다. 임신 중에도 사용 가능하며, 육아휴직을 통해서 가정과 아이에게 조금 더 집중할 수 있고, 경력 또한 유지되기 때문에 많은 엄마들이 아이를 낳고 난 뒤 출산휴가에 더해 육아휴직까지 쓰곤 합니다. 2. 육아휴직 대상자와 지원내용 대상자 : 만 8..

일상생활 tip 2024.02.04

2024 육아단축근무 신청, 기간, 지원내용, 서류

안녕하세요. 아이를 낳고 키우는 것은 정말로 행복하지만, 한편으로는 동시에 직장과 가정 사이에서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도 힘들어 스트레스는 받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는 어린 아이를 키우는 부모님들이 효율적이게 시간을 관리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해요. 2024년부터는 제도가 더욱 확대되었다는 좋은 소식이 있어, 한번 정리해볼게요!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목차 1.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란? 1) 대상자 2) 근로시간 및 단축기간 2. 2024 새롭게 변경된 내용 3. 허용 예외 사유 4. 신청방법 1.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란? 1) 대상자 근로자가 만 8세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양육하기 위하여 회사에 근로시간 단축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2) 근로시간 ..

일상생활 tip 2024.02.02